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환사채
- 국고채
- 회사채
- 쉑쉑버거
- 기준금리
- 채권 수익화
- 국채
- 거제 벨버디어
- 경기 동향 지수
- 후순위채권
- 스위트(오션뷰)
- 금리
- 레버리지효과
- 사랑채
- 동성로 랜디스버거
- 채권
- 동성로 쉑쉑버거
- 담톤
- 지방채
- 경기
- 안동 가볼만한 곳
- 피카부
- 경주 한화리조트
- 주식시장
- 신주인수권부 사채
- 전통가옥
- 뽀로로방
- 채권시장
- 한화리조트
- 안동 호반 자연휴양림
- Today
- Total
아빠의 돈 공부
금리란?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는 무엇인가요? 본문
이자는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것으로, 이자율 즉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말합니다. 금리는 돈을 빌려주는 대신 기회를 포기하는 대가인 무위험 수익률과 돈을 못 받을 위험인 위험 수익률로 구성이 됩니다.
만약에 당신에게 10억 원 있는데 누군가가 돈을 빌려달라고 한다면 금리를 몇 퍼센트로 빌려줘야 할까요? 금기를 결정하는 데는 크게 신용, 만기, 금액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신용은 돈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신용이 높을수록 돈을 못 돌려받을 위험이 작으므로 금리가 낮습니다. 만기는 돈을 갚기로 한 기한을 말하는데, 만기가 길수록 돈을 못 받을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위험수익률이 높아지므로 전체 금리가 더 높아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금액이 클수록 돈을 못 받을 위험이 커지므로 위험수익률을 높게 설정하여 전체 금리가 더 높아집니다. 결국 금리가 높다는 것은 돈을 못 돌려받는 위험 수익률이 크다는 의미이므로 금리가 높다고 무조건 좋아하지 말고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많을수록 금리가 오르게 되며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적으면 금리는 내리게 됩니다. 또한 돈을 빌려주려는 사람이 많을수록 금리가 내리고 돈을 빌려주려는 사람이 적으면 금리는 오르게 됩니다. 금리는 경제상황, 정부의 정책 등 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아 오르내리지만 결국 돈의 수요/공급이 어떻게 되는지를 곰곰이 생각해보면 금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
한국은행이 시중의 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정하는 금리이며 모든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다른 금리들은 기준 금리 근처에서 형성하게 되어 시중 금리 전체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바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입니다. 기준금리에 따라서 모든 금리가 변하고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쉽게 올렸다 내렸다 하지 않습니다.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돌아다니면 물가가 크게 오르고 부동산이나 주식 가격이 너무 올라서 거품이 커지게 됩니다. 그러다가 급작스레 거품이 빠지게 되면 경제에 큰 문제를 일으키므로 한국은행은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려고 시중의 돈을 거두어들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합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다른 금리도 오르기 때문에 이자 부담이 커져 대출이 줄어들고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이 작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침체되고 시중에 돈이 돌지 않으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합니다. 금리를 낮추어 줄 테니 돈을 빌려 투자도 하고 소비도 하라는 것입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리조트 거제 벨버디어 스위트(오션뷰) 후기 (0) | 2020.12.30 |
---|---|
경주 한화리조트 담톤 스위트(뽀로로peekaboo) 이용 후기 (0) | 2020.12.29 |
회사채란?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0) | 2020.09.08 |
채권 종류, 총 정리해드립니다. (0) | 2020.09.07 |
채권 시장 규모는 얼마나 되나? (0) | 2020.09.07 |